Home 프로그래머스 - 전화번호 목록
Post
Cancel

프로그래머스 - 전화번호 목록

[프로그래머스] 전화번호 목록

Link

문제

전화번호부에 적힌 전화번호 중, 한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있는지 확인하려 합니다. 전화번호가 다음과 같을 경우, 구조대 전화번호는 영석이의 전화번호의 접두사입니다.

  • 구조대 : 119
  • 박준영 : 97 674 223
  • 지영석 : 11 9552 4421

전화번호부에 적힌 전화번호를 담은 배열 phone_book 이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어떤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있으면 false를 그렇지 않으면 true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phone_book의 길이는 1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각 전화번호의 길이는 1 이상 20 이하입니다.
    • 같은 전화번호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phone_bookreturn
[“119”, “97674223”, “1195524421”]false
[“123”,”456”,”789”]true
[“12”,”123”,”1235”,”567”,”88”]false

풀이

Goal: n개의 전화번호가 담긴 배열 Phone number가 있을 때, 어떤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있다면 False, 아니면 True를 Return

Brute force를 한다고 생각해본다면.. 첫번째 예시의 첫번째 번호 119가 있을 때, 다른 번호들의 앞 3자리가 119인지 확인하고, 그걸 모든 배열의 번호에 대해서 반복하는 방법으로 풀수가 있겠다.

이때 제한사항이 여러가지인데, 선택된 번호와 비교할 배열의 크기가 만약 선택된 번호가 더 크다면 접두어인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비교를 하지 않는다하거나 하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이 문제 취지가 해쉬를 사용하는 것이니까 해쉬를 이용한 방법을 생각해보자.

먼저 Dictionary에 모든 번호를 다 저장한다.

한 번호를 선택하고, 앞 자리를 하나씩 추가하면서 Dictionary에 있는 다른 번호들과 비교한다.

이때 Dictionary에 있는 다른 번호와 같다면 그 번호가 선택된 번호의 접두어라는 뜻이 된다.

  • [“1195524421”, “97674223”, “119”]의 순서로 있다고 할 때, “1195524421”의 앞자리 “1”부터 시작
  • “97674223”, “119”와 같은지 확인
  • 뒷자리수를 하나씩 추가하면서 다시 비교 “11” -> “11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def solution(phone_book):
    answer = True
    phone_dic = {}
    for number in phone_book:
        phone_dic[number] = 1
        
    for number in phone_book:
        temp = ""
        for digit in number:
            temp += digit
            if temp in phone_dic and temp != number:
                answer = False
    return answer

Brute force 방법으로 한다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def solution(phone_book):
    result = True
    for i in phone_book:
        for j in phone_book:
            if i==j:
                # 같은 것끼리는 비교안해도 됨
                pass
            elif len(i)>len(j):
                # 길이가 더 길면 접두어일 수 없음
                pass
            elif i==j[:len(i)]:
                return False

    return result

둘다 대충보면 O(n^2)의 시간복잡도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Brute force 방법은 문자열간의 비교까지 더해져 O(n^3)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 것 같다. (확신 X)

공간복잡도는 Dictionary를 사용한 방법은 O(N), Brute force를 사용한 방법은 O(1)이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프로그래머스 - 위장

프로그래머스 - 폰켓몬 (MJ)